Backend/git & linux

리눅스 기초 명령어

민57 2020. 1. 22. 17:51

 

홈 디렉터리와 현재 디렉터리

커서 윗줄의 맨 끝 물결표시(~)는 현재 홈 디렉터리에 있다는 의미.

$ pwd

  pwd(print working directory) 명령을 통해 입력하면 현재 위치의 경로를 알 수 있다.

 

 

 

현재 디렉터리의 파일 또는 디렉터리 확인

현재 디렉터리의 파일 또는 다른 디렉터리가 있는지 확인할 때 사용한다.

$ ls

 

 

 

리눅스 명령에 옵션(-) 추가하기

붙임표(-)와 옵션 글자를 함께 입력한다.

예를 들어 파일과 디렉터리의 상세 정보 표시를 위해서는 -l 을, 숨긴 파일과 디렉터리 확인을 위해서는 -a 을 입력한다.

두 옵션을 함께 사용하기 위해서는 순서 상관 없이 글자를 붙여 입력한다.

$ ls -al

이 외에도 파일의 정렬 순서를 거꾸로 표시하는 -r과 파일 작성 시간 순으로 표시하는 -t옵션 등이 있다.

 

 

 

디렉터리 이동하기

디렉터리 사이를 이동할 때는 cd(change directory) 명령을 사용한다. 절대경로는 cd 뒤에 경로를 붙여주면 된다.

 

* 상위 디렉터리 이동하기

$ cd ..

* 하위 디렉터리 이동하기

$ cd 폴더명

* 홈 디렉터리( c/Users/사용자아이디 ) 이동하기

$ cd ~

 

 

 

리눅스의 디렉터리 기호

~ 홈 디렉터리. 사용자 디렉터리라고도 불린다.

./ 현재 사용자가 작업 중인 디렉터리

../ 현재 디렉터리의 상위 디렉터리

 

 

 

디렉터리 생성 및 삭제

* 현재 디렉터리에 하위 디렉터리 생성. mkdir(make directory) 명령을 통해 가능하다.

$ mkdir test

* 삭제는 rm(remove) 명령으로 진행한다.

$ rm -r test

-r 옵션을 붙이게 되면 하위 디렉터리와 파일까지 모두 삭제한다. 후에 ls 명령을 통해 확인이 가능하다.

*** rm 명령은 삭제할 디렉터리의 상위 디렉터리에서 명령을 입력해야 한다.

 

 

728x90